2009년부터 잊을만하면 한 번씩 IT 이슈로 거론되어왔던 e북. 사실 e북이라 해서 새삼스러울 것은 없다. PC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모니터를 통해 문서를 읽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것이 한 권의 책이었을 수도 있고, 워드나 한글과 같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과제, 보고서, 제안서 등등의 문서를 읽었을 수도 있다.
이처럼 문서를 읽는 작업은 PC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다만, 데스크탑 PC의 경우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걸어가는 길거리, 출퇴근에 항상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 안 등에서 들고 다니며 해당 문서를 읽을 수는 없다. 노트북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하긴 하지만, 겨우 문서만을 보기 위해서 1~2kg가량의 무게를 가진 노트북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비효율적인 일이다.
1. e북과 ePub
그래서 생긴 것이 바로 e북이다. 들고 다니면서 읽을 수 있는 문서의 대표주자는 책 아니겠는가. 이렇게 책처럼 ‘들고 다니면서 문서를 읽을 수 있게 해주는 전자 기기’가 바로 e북이다. 바로, e북의 개념은 여기에서부터 시작된다.
e북을 들고 다니면서 책(문서)의 내용을 볼 수 있는 IT 기기라고 정의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문제가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가장 큰 문제가 바로 저작권이다. 자, ‘책을 산다'는 것은 엄밀히 말해서 해당 작가와 그 작가의 글을 책이라는 상품으로 만들어내 유통한 출판사에게 대가를 지급한다는 것이다.
잠시 음반시장을 예로 들어보자. 한 때 김건모나 신승훈, 서태지와 아이들과 같은 유명 인기 가수의 음반은 100만 장 이상씩 팔리던 시대가 있었다. 그렇게 100만 장이 팔리는 음반에 대한 수익 배분을 가수, 유통사, 제조사 등에서 나눠 가지며 시장은 발전하고 유지가 되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어떤 음악을 듣기 위해서 대다수의 사람은 음반을 사는 것이 아니라 MP3와 같은 파일을 다운받고 그 파일을 재생 가능한 기기를 이용해 듣고 있다.
가수의 노래, 음악이 파일로 사람들 사이에 돌아다니게 되면서 더는 음반을 살 필요가 없어졌다. 해당 파일만 다운받으면 되니까 말이다. 어떠한 대가를 치르지 않고도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됨으로써 사람들은 편해졌을지 모르지만, 그것을 직업으로 삼는 모든 이들에게는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그로 말미암아 시장은 축소되고 위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힘들어졌으며, 현재에 이르러 많은 가수들이 ‘불법 음원을 다운로드받지 맙시다’라고 외치고 다니게 된 것이다.
그래서 MP3에 저작권이 생겨났고, 해당 MP3를 공정한 대가를 받고 다운로드하게 해주는 웹 사이트들이 생겨났으며, 여러 자료를 다운로드받거나 즐길 수 있는 서비스 업체에서도 일정의 금액을 받아 저작권이 있는 자료에 지급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 방식이 완벽하게 자리잡았다고 하기는 조금 어렵고, 점차 인식이 전환되어 가고 있는 단계 정도라고 볼 수 있겠다.
불법 다운로드 문제는 비단 음악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영화, 애니메이션, 기타 영상물 등 그 어떤 콘텐츠가 되었든 간에 PC를 통해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다면 불법 다운로드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 아무리, 가수, 영화인, 연예인들이 방송에 나와 불법 다운로드 방지 운동을 펼쳐도 실질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기 때문이다. e북용 콘텐츠 역시 마찬가지다.
여기서 ePub 이야기를 해보자. ePub란, 'electronic publication'의 약자로 우리 말로 번역하면 ‘전자 출판물’ 정도 되겠다. 이는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IDPF,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에서 제정한 개방형 자유 전자서적 표준으로, 지난 2007년 9월에 전 세계 공식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기존의 각종 문서, 사진들을 ePub 방식으로 바꿔서 유통하여 저작권을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말이다.
기존 PDF, TXT, MS 오피스(doc, ppt, xls), HWP, jpg, png, bmp, gif 등과 같은 문서, 사진용 파일들을 ePub 방식으로 바꿔서 유통하는 것을 말한다. 초반에는 많은 걸림돌이 있었지만 이제는 ePub이 e북의 공식 표준으로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국내에 판매 중인 e북 기기 중에는 삼성 SNE-60, 인터파크 비스킷, 아이리버 스토리 등이 ePub를 지원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